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메뉴

활동마당

서브본문

위원회활동

지속가능한 도시 르네상스의 미래

작성자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
조회수
2996
등록일
2009-09-18 10:50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다음은 세계 각국에서 활발한 건축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할 수 있는 '프리츠커 상'을 수상하기도 한 리처드 로저스 경의 도시에 대한 칼럼입니다.

로저스 경은 다국적 부동산개발회사인 스카이랜 디벨롭먼트사에서 현재 서울 여의도에 개발중인 '파크원(Parc.1)'의 컨셉디자인을 총괄하였습니다.

국문 번역본에 이어 영어 원문을 함께 게재하며 제목은 편집자가 붙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지속가능한 도시 르네상스의 미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

도시라는 곳은 사람들의 만남의 공간이자 서로의 생각을 교환하는 장소이다. 도시는 사회의 틀을 구성하면서 시민가치를 생성케 하여 주는 곳이며, 문화 및 경제생활의 중심이다. 도시는 사람들이 건설하지만 그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도시의 물리적·사회적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필자는 영국정부의 도시개발추진단의 단장 및 두 분의 전임 런던시장의 수석자문 역할을 포함하여 필자가 설립한 건축디자인회사 RSHP(Richard Rogers Stirk Harbour + Partners)와 함께 런던뿐만 아니라 베를린, 피렌체, 리스본, 뉴욕, 파리, 상하이, 시드니 등 세계 주요 도시의 폭넓은 마스터플랜 개발 프로젝트 경험을 가지고 있다.

서울은 세계적인 도시이며 아시아에서 주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누구라도 서울의 역사적 유산의 풍부함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종 충분한 계획을 거치지 않고 방대한 규모로 진행된 개발과, 거리를 장악한 자동차들로 인해 이제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사실상, 서울에 필요한 것은 매우 근본적인 ‘도시 르네상스’이다. 이러한 르네상스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보행을 위한 공공 공간과 차도 사이의 균형 문제를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지난 번 한국을 방문했을 때 12차선의 거대한 차로를 건넜던 기억이 난다. 그 12차선 도로는 아마도 전 세계 그 어느 곳에서도 본적이 없는 가장 넓은 도로였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 도로는 도심을 관통하면서 주변에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었던 지역 공동 의식 또는 친밀한 유대관계 형성을 저해하고 있었다. 앞으로 도시개발계획의 접근방식은 무모한 개발로 인해 서울에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유해한 영향을 제한하고, 컴팩트하게 짜여진 이웃간의 지속가능하고 친밀한 지역공동체의식 및 유대관계를 조성하고 도시 중심이 되는 장소에 대한 명확한 구분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쇼핑몰 정면의 개방형 공공 장소 - 시민들의 찾고 싶고, 걷고 싶은 도심 속의 명소로 탄생

서울은 미래 지향적인 도시이다. 이미 여러 개발들이 시작됐고 특히, 청계천을 따라 개발된 청계천 프로젝트는 전세계 최고의 도심재생 프로젝트들과 견줄 만 하다. 한 때 흉물스러운 복개천으로 외면받던 이 곳이 정부에 의해 다시 개방되고, 공공장소로 활용되며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매력적인 수변공간으로 탈바꿈한 것을 볼 수 있다. 강을 따라 아름답게 꾸며진 약 10km의 산책길은 사람들에게 뿐만이 아니라 주변 지역의 가치를 올리는데 지대한 공을 세웠다. 도심재생에 대한 이러한 성공적이며 장기적 시각의 접근은 이제 서울 여타 지역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지난 2008년, 서울 국제경제자문단 컨퍼런스에 참여했던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강에 대해 열정적으로 연설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경이롭고 넓은 한강은 수변에 위치한 새로운 생활 및 업무·레저 환경을 창조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무궁한 잠재력을 지닌 곳이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수변 지역은 주요 교통통로 역할을 위해 서울의 여타 지역과 단절되어 있어 이 문제가 올바르게 해결되지 않는 한 향후 그 어떤 한강개발 사업의 성공도 장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강변을 부흥시키기 위한 강력하고 밀도있는 노력이 펼쳐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한강변은 강변 전역에 걸쳐 환상적인 경관을 연출하며 새로운 공원, 문화시설 및 레스토랑과 카페로 가득한 매혹적인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오피스 타워 사이의 Sunken Garden - 녹지대로 구성된 주변 환경과 어우러진 공간

강변을 중심으로 세계 주요도심지역에서 대규모의 성공적인 변신이 이루어진 몇몇 훌륭한 사례들이 있다. 1992년 올림픽 경기 개최 이후 바르셀로나의 해변가의 변모, 또는 런던 테임즈강의 사우스 뱅크를 따라 지난 20년 동안 이루어진 사회적·문화적 부흥이 끼친 지대한 영향을 보면 누구나 강변의 개발이 도심의 활력을 유지하고 생명력을 불어넣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바로 알 수 있다. 뉴욕 허드슨강의 강둑 그리고 시드니의 다알링 하버의 재개발 사례는 정교하게 설계된 수변이 도시에서 생활하고 일하는 시민들에게 도심공간의 틀 안에서 어떠한 새로운 공원과 녹지공간을 제공하여 주는지 그리고 이러한 공간이 어떻게 환경적으로 생물학적 다양성을 유도하는 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들이다.

오피스 타워 1과 타워 2 사이에 위치한 방문객들을 위한 자연 친화적 복합 문화의 장소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기후변화에 대한 위협이다.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청정연료의 사용 및 지속 가능한 건물과 대규모 녹지의 조성을 유도하는 모든 형태의 발전은 환영할만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심의 설계 및 건축에 대한 이른바 ‘국제적인 접근방식’이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 많은 국가에 지배적인 개발방식이 되어 가고 있다. 이는 종종 탄탄한 공간에 대한 이해와 휴먼스케일 (시간, 거리, 공간의 척도가 일반적으로 인간이 가능한 범위를 기준으로 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는 건축물이라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이는 건물 간의 소통이 부재하고, 건물이 건물 사이에 놓인 공간과도 공감할 수 없는 도심을 창출하게 된다. 이러한 도심은 사람들이 서로 공감할 수 있는 여건을 더욱 어렵게 하고 결국 도시를 살기 힘든 곳으로 만들어 버린다.

차량에 우선권을 줄 경우 그 결과는 교통혼잡과 사회적 긴밀도가 낮은 고립된 지역 공동체의 생성으로 이어진다. 신축 건물은 적정한 규모와 리듬 그리고 색깔을 가져야 하며, 지역 공동체가 대중교통의 중심지 인근에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두개 동의 오피스 타워, 쇼핑몰과 호텔로 이루어진 Parc.1(파크원)

한국에는 훌륭한 건축가들이 많다. 서울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현 시점에서 이러한 건축가의 뛰어난 역량이 인간친화적인 도시의 형성에 투입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e New Future of Sustainable City Renaissance

Richard Rogers, Architect

Cities are places for the meeting of people and for the exchange of ideas. They are the framework of society, the generators of civic values and the focus for cultural and economic life. Cities are built by people who are, in turn, affected by the physical and social state of the cities in which they live.

I have spent most my professional life - including roles as Chair of the UK Government’s Urban Task Force and advisor to the last two Mayors of London - working on the regeneration of cities and, together with my practice, Rogers Stirk Harbour + Partners, have experience of developing wide range of masterplans for major urban centres across the world including Berlin, Florence, Lisbon, New York, Paris, Shanghai and Sydney, as well as for London itself.

Seoul is a global city and a major economic and cultural player in Asia. Its historical heritage can clearly be seen by all. However, its vast and often poorly-planned growth combined with the dominance of the car has created a need for new strategies to bring about major positive change. Effectively, what is needed in Seoul is a fundamental ‘urban renaissance’. In this renaissance, the balance between public space for pedestrians and cars needs to be reconsidered. I remember once when I was visiting Seoul, trying to cross a 12-lane highway - probably the widest road I had ever seen anywhere in the world - which cut through the city and seemed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any sense of community the area around it might have otherwise had. Future approaches to urban planning must limit the harmful impact these sorts of development can have on Seoul and encourage cohesive and sustainable communities with compact neighbourhoods and clearly defined centres.

Seoul is looking to the future. The developments which are already taking place along the Cheonggye River are comparable with some of the very bes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ities across the world. Here, one can see a once highly unattractive and covered river opened up once more by the Government and developed as an attractive waterfront area for public use and community benefit. The beautifully designed six-mile stretch of walkway along the river is not only a haven for people but has clearly had a major effect on the value of the land around it. This successful approach to the long-term regeneration needs of one part of Seoul now needs to be applied to other areas of the city.

When I attended the Seoul International Business Advisory Council Conference in 2008, I heard the Mayor speak passionately about the Han River, a wonderful, broad river which clearly has tremendous potential to act as a catalyst for the creation of a new waterside live/work leisure environment in the city. However, large areas of the waterfront are cut off from the rest of Seoul by major traffic routes and until this issue can be properly addressed, the success of any future developments there will be seriously compromised. Nonetheless, with a strong and highly focused commitment to regenerating the Han waterfront, it could be transformed into a highly attractive area filled with new parks, cultural facilities and restaurants/cafes and offering fantastic views across the river. There are some excellent examples around the world where successful large-scale transformation has taken place in major urban centres, most of it along waterfronts. One only has to look at the how the shoreline in Barcelona’s has improved since the 1992 Olympic Games or at the enormous impact of social and cultural regeneration along the South Bank of the River Thames in London over the past 20 years to see how crucial waterside developments are to sustaining the vitality of an urban centre and injecting it with new life. The Hudson River embankment in New York and the redevelopment of Darling Harbour in Sydney are other examples of how a well-designed waterside can offer those people living and working in cities the benefits of access to new parks and green areas – and the biodiversity these encourage – in an urban setting.

The most critical problem that mankind now faces is the threat to climate change. Any form of development which uses clean fuel to reduce CO2 use and which encourages sustainable buildings and large areas of green public space is to be welcomed. Nonetheless, an ‘international approach’ towards urban design and architecture is starting to dominate in many countries across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This tends to result in new buildings that often no longer have a strong sense of place and human scale about them. In turn, this creates cities where buildings fail to relate to each other and to the space between them. These cities then become more difficult for people to relate to – and, therefore, to live in. Where priority is given to the car, the result is massive congestion and isolated communities with little social cohesion. New buildings must have appropriate scale, rhythm and colour and be designed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close to public transportation hubs. There is no lack of good architects working in Korea; as Seoul moves forward, the best of these architects should be encouraged to focus on the creation of a people-friendly city.


리처드 로저스 경 (Lord Richard Rogers)


1933년 이탈리아 플로렌스 출생


학력

1954 – 59 영국 AA 스쿨(AA Dipl.) 및 예일대학교 석사(M. Arch)

1961 – 62 Fulbright, Edward Stone and Yale 장학생

주요 자격

RIBA (영국왕립건축가협회)

FAIA (Hon, 미국건축가협회 명예회원)

Dr RCA (Hon, 로얄컬리지오브아트 명예박사)

BDA (Hon, 독일건축가연맹 명예회원)

FREng (HonDDes, 로얄 아카데미 오브 엔지니어링 명예 디자인 박사)







건축 활동

회장

현 Rogers Stirk Harbour + Partners (RSHP) - 전 Richard Rogers Partnership, London

Richard Rogers Architects Limited, London

Richard Rogers Japan KK, Tokyo

Richard Rogers SL, Spain


바이오그래피

살아있는 건축 거장인 리처드 로저스 경은 2007년에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우는 프리츠커 상 (Pritzker Architecture Prize)을 수상했다. 1986년에는 프랑스 최고 훈장인 Legeion d’Honneur 를 받았고, 1996 년에 경(Lord)의 작위를 받았다. p

1995년 건축가로서는 처음으로 BBC방송의 리스 렉쳐 (Reith Lectures) 에서 “도시 르네상스”(원제: Cities for a Small Planet) 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1998년에는 영국 부총리에게 영국 정부의 도심 프로젝트 팀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런던 시장의 건축과 도시계획부문 총 자문위원이고, 최근 런던광역시의 Design for London Advisory Group의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바르셀로나 시장의 도심계획회의(Urban Strategies Council)의 자문역을 맡고 있다. 영국 Tate Gallery의 이사회장, 영국예술협회(the Arts Council of Great Britain)의 부의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1995년 건축가로서는 처음으로 BBC방송의 리스 렉쳐 (Reith Lectures) 에서 “도시 르네상스”(원제: Cities for a Small Planet) 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1998년에는 영국 부총리에게 영국 정부의 도심 프로젝트 팀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런던 시장의 건축과 도시계획부문 총 자문위원이고, 최근 런던광역시의 Design for London Advisory Group의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바르셀로나 시장의 도심계획회의(Urban Strategies Council)의 자문역을 맡고 있다. 영국 Tate Gallery의 이사회장, 영국예술협회(the Arts Council of Great Britain)의 부의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런던,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뉴욕 그리고 도쿄에 사무실이 있는 그의 건축 사무소 Rogers Stirk Harbour + Partners (전 Richard Rogers Partnership)는 1977년에 설립되었으며, 도시 마스터플랜에 있어 풍부한 경험을 가진 세계적 건축 디자인 그룹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RSHP의 주요 설계로는 런던 히드로 공항의 Terminal 5와 2006년 스털링 상 (Sterling Prize)을 수상한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의 New Area Terminal과 같은 대형 공항 디자인 프로젝트가 있다. 그 외에도 런던의 새로운 오피스 고층 빌딩들, 안트베르펜의 법정 종합시설, 웨일즈 카디브의 국회,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호텔과 회의장, 그리고 상을 수상한 런던 도심 중등학교인 모스번 아카데미 (Mossbourne Academy) 가 있다.


자선 단체 활동

대표 The National Communities Resource Centre

이사 Médicins du Monde, UK Board

후원 Society of Black Architects


주요 수상

2007 The Minerva Medal (미네르바 평생공로상)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Tau Sigma Delta Gold Medal

2006 Golden Lion for Lifetime Achievement

2004 Università di Firenze 명예박사 (이탈리아)

Tongji University 교수 (중국)

1999 The Thomas Jefferson Memorial Foundation Medal (건축부문)

1997 Friend of Barcelona

1996 Life Baron of the UK (Lord 작위)


그 외

1991 – 01 The Architecture Foundation 회장

1981 – 89 영국 Tate Gallery, 이사회장

1994 – 97 Arts Council of England, 부의장

1986 – 87 UN 산하 21세기 도심화 위원회 회원


주요 관련 서적 및 전시

2006 Richard Rogers: Complete Works Vol. 3 (by K. Powell), Phaidon Press

Richard Rogers (by R. Torday), Loft Publication

Richard Rogers Partnership (by K. Powell), Birkhauser Press

2001 Richard Rogers: Complete Works Vol. 2 (by K. Powell), Phaidon Press

2000 Cities for a Small Country (by R. Rogers with A. Power), Faber & Faber

1999 Richard Rogers: Complete Works Vol. 1 (by K. Powell), Phaidon Press

1997 Cities for a Small Planet (by R. Rogers with ed. P. Gumuchdjian), Faber & Faber

1994 The Architecture of Richard Rogers (D. Sudjic), 4th Estate Press

1991 Nine Projects – Japan – Richard Rogers Partnership, Blueprint Extra 3

British Architecture Today – Six Protagonists, Biennale of Architecture, Venice

Richard Rogers Partnership – Flexible Framework, Aedes Gallery

1990 Architecture – A Modern View (by R. Rogers), Thames & Hudson

이전글
아름다운 도시
다음글
인상적인 한국의 도시와 건축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