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메뉴

활동마당

서브본문

위원회활동

인상적인 한국의 도시와 건축문화

작성자
노르베르트 바스
조회수
2712
등록일
2009-11-02 15:04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인상적인 한국의 도시와 건축문화





노르베르트 바스



전 주한 독일 대사







역사적 동병상련





아시아에서 우뚝 솟은 역동적인 현대건축물을 보는 것은 언제나 매력적인 일이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의 수도, 서울은 곳곳에 높은 빌딩들이 솟아있다. 이들 마천루들은 신비한 하늘의 끝을 보려는 듯 어떤 경우에는 구름을 뚫고 뻗어 있 다. 독일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일이다. ‘down-to-earth’라는 글자처럼 독일인들이 지상지향적이어서 그럴까? 그렇지만 한국 과 독일의 건축물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던 시기가 있었다. 두 나라의 전후 시기를 되돌아보자. 두 나라 모두 전쟁으로 인 해 대량 파괴라는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모든 사회기반이 파괴되어 전후 복구차원에서 새롭게 지어야만 했다. 과거를 청산 하는 의미에서 이루어진 필요한 조치였다.



독일의 개발과 조화



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건축물은 19세기말 널리 확산된 절충주의 건축양식과 더 오랜 역사를 가진 중앙집중형 도 시의 잔존물들과 공존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건축적 경향에 무엇보다도 우선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 이런 건축적 경향의 이면에는 가능한 과거의 건축양식을 보존하면서 새 시대의 조류와 통합해보려는 욕심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바우하우스 양식은 전후 건축물에 영향을 미친 두 번째 요소이다. 바우하우스 양식은 미술과 공예, 그리고 기술을 아 우르며 통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이런 점을 중시한 건축물은 현대적인 평면 지붕이 주로 쓰였으며 가스나 전구, 욕실 같은 다량의 편의시설들이 건물 내부에 설치되었다
독일 나치주의(The Nazis)는 이 두 가지 전통적 건축양식 모두를 멀리하고 몰개성화 시켜버렸다. 슈페어가 기획한 괴 기스런 베를린 시민홀, ‘폭스할레(Volkshalle)’는 전에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거대한 건축양식의 대표적 본보기이다. 나치 주의 건축물의 대부분은 형태나 발상에서 모두 독창적이지는 못했다. 서로 다른 양식들을 모방한 형태로 나타났고, 더 나아 가 규모에 있어 커지거나 유형이 다양화됐으며 다소 과장되어지기만 했다. 이는 인간적인 잣대로는 체계성이나 구체성의 측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은 건축물이었다.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을 염두에 둔다면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건축양식이 왜 소박함을 추구하게 되었는지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전후 시기는 인간적인 자연스러움의 빠른 회귀로 특징지어진다. 보다 더 절제된 양식으로 표현하고자 장 식적인 요소들이 많은 절충주의 건축양식은 외면을 받았고, 바우하우스 양식에도 변화가 왔다. 1950년대 양식의 범주에 있던 많은 건축물들은 오늘날 새롭게 평가되었고, 현대적 간결미와 더불어 정교함까지 갖추게 되어 국민적 사랑을 받고 있다.







의사당



cpoyright © 독일 제국 의회 사진: ©picture-alliance/ ZB







나치주의 건축물의 거대하기만 했던 외양에 대한 역사적 관점에서의 거부감은 별도로 하더라도, 전후 독일의 자원부족은 사람들로 하여금 일상생활에 적합하고 기능적인 건축양식을 선호하도록 만들었다. 이에 따라 전후 건축의 목적은 경제적 효 율성을 갖춘 기능주의 양식을 따르는데 있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이미 그랬듯이 중앙 난방시스템이나 급수배관같은 이 미 존재하고 있던 기술들이 건축물내에 통합 및 유지관리에 적용됐고, 더 나아가 기술적으로 진일보했다. 어떤 의미에서는 바우하우스 양식이 새롭게 규정지어지고 보완된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유서 깊은 도시들의 역사적 잔존물들을 보존하고, 이미 존재하고 있던 크고 편안한 아파트 건물들을 개선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결과적으로 아주 다양한 형태의 절충주의 양식의 장식적 요소들이 독일의 도시 풍경에 살아나게 된 셈이다. 이로써 독일은 중앙광장과 교회 및 시청을 중앙에 위치시킨 전통적이고 낭만적인 도시 양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채 남아있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한국에서 결합된 모더니즘



한국의 건축물은 건물의 기초부터 독일과는 구조적으로 달랐다.
한국의 소중한 유산인 전통가옥인 ‘한옥’은 비용을 많이 들이지 않고는 주거 목적으로 개량하기가 힘들었다. 전기나 가스, 급수배관과 같이 빠르게 발달되어가는 현대사회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새로운 기술들을 접목시키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오늘날 한옥에 대한 관심과 유행은 주목할만하다. 어쨌던 절이나 궁궐 같은 역사적 기념물들을 제외한다면 기존 건물들은 오 직 제한된 범위에서만 보존•관리된 실정이었다. 현대건물들은 한옥과는 다른 새로운 건축형식으로 번창하기 시작했다. 결과 적으로 한국의 건축물들은 기존의 전통적 건축양식으로부터 보다 더 자유롭게 개발됐고, 새롭고 현대적인 요소들이 빠르게 활용되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전후 한국의 건축물은 모더니즘의 정신을 따라잡고 이를 실현시키려 열망했던 결과의 산물로 보인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에서는 대기업들이 도시의 재개발을 대부분 독점하다시피 했다. 소규모 건축 프로젝트나 빨간 벽 돌로 지어진 전형적인 개인주택과 같은 건축물들은 한국의 건축양식에 이렇다 할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재벌’로 일 컬어지는 대기업들이 남부럽지 않은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에 맞춰 대형 건축 프로젝트들을 수행했다.
더 나아가 한국의 전후 건축물에는 오늘날 포스트 모더니즘에 내재된 독일의 절충주의 전통에서 찾아볼 수 있는 레트 로(복고풍)의 영향이나 노스탤지어적 요소도 없다. 심지어 한국의 건축물은 포스트 모더니즘이나 장식적 요소 자체를 받아들 이기를 꺼려한 듯 보인다. 대신에 건축물들이 명료한 선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이나 장식주의보다는 전통적으로 선호하는 미니 멀리즘과 결합하여 특징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조화가 살아있는 새로운 모더니즘



독일의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물은 ‘조화(fit-in)’라는 요소에 영향을 받았다. 역사라는 외양은 보존된 채 새롭게 고 쳐졌다. 그리고 이것들은 이에 상응하는 건축물들과 미적 안락함을 창출하는 새로운 요소들을 수용하여 보완되었다.
오늘날 독일의 건축물은 이러한 방식의 개발과는 점점 거리를 두는 듯하다. 그러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로 무장한 건축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다음 세 가지의 건축적 주안점을 통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독일의 현대건축양식은 여전히 대형건축프로젝트를 선호하지 않는다. 이는 나치주의 치하에서 이뤄졌던 몰개성 화에 대한 반감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게 급하게 거대건축물에 대한 계획이 많아짐으로써 이로 인해 개개 인의 자유와 권리가 권위주의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된다. 어쨌건 건물의 크기에 있어서 조화 및 표준과 구획이나 거리의 형태에 대한 규정을 제시하는 도시계획은 비록 많은 사람들이 너무 관료적이라고 비판하거 나 건축가들에게 과도한 제한을 둔다고 생각하더라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둘째, 개별 건축물과 자연환경간에 조화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고층빌딩의 건설과는 달리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통합형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도시 계획은 도시를 녹색지대를 만들고, 생태계가 지속 가능하도록 하는 환 경을 만드는데 점차 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셋째, 독일의 건축물은 지금도 남아있는 강한 개인주의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건축가들간 에, 건설회사간에 상존하는 치열한 경쟁은 새롭고 혁신적인 것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고, 자신들 고유의 스타일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러한 경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유행은 한시기를 풍미하는 것이다. 오늘날 건축가들은 그 어느 때보다 창조적이기를 원한다.
독일 모더니즘이 있다고 명확하게 말하기는 힘들다. 필자는 독일인 대다수가 일반적으로 높이 솟은 마천루에서 살기 보다는 친환경적인 도시풍경 속에 녹아 든 높지 않은 건물에서 살기를 좋아한다는 차이점만을 발견할 뿐이다. 우리는 국제화 를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한 취향과 스타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전세계에 걸쳐 이의 통 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받아들여야 한다. 외국의 경향과 미래상에 자유롭게 접근이 이루어진 대표적 사례는 영국의 저명한 건축가인 노먼 포스터 경이 재건축한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 라이슈타크 빌딩이다. 유럽간 협력과 사상의 교류에는 건축양식 과 디자인도 포함되어 있었다. 오늘날 건축미와 구조의 기준은 비슷한 취향과 선호도를 반영한 주택들에 의해 규정지어지고 있다. 이는 초기 그리스 시민사회까지 거슬러 올라가 유럽지역에서는 항상 그렇게 해왔던 일이기도 하다. 국가별로 특정 양 식이 구별되던 시기는 오래된 일이다. 과거에 있었던 양식간의 구별이 지워지고 새로운 국제주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돌 이켜 볼 때, 루브르박물관 앞의 피라미드 구조물을 설계한 이는 일본인 건축가이다. 이라크 건축가는 서울에 공원을 지을 것 이고, 독일 건축가는 중국에 새로운 주택의 개념을 전파하고 있다.



맺는말



서울에서 주한 독일대사로 머물면서, 필자는 한국인들이 자신들의 도시풍경을 아름답게 꾸며나가는 과정에 대해 깊은 관심과 호의를 가지고 지켜보았다. 대규모 컨벤션센터와 고층빌딩으로 시작하여 오늘날 한국의 도시 문화는 점점 더 독창적 인 메트로폴리스의 그것으로 변모해가고 있는 듯 하다. 한국의 도시들은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고, 나는 앞 으로 보다 흥미로운 건축물들이 들어설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짐짝을 부리듯이 또는 서로 다투듯이 현대 건축물들을 쏟아내 면서 진행되었던 전후 개발시기를 되돌아보며, 필자는 한국이 이제 편안하게 준비된 상태이고, 더 나아가 보다 창조적인 현 대건축양식을 만들어내기 위한 또 한번의 중요한 단계를 밟아 나가기를 바라고 있다.







청계천



cpoyright © 한국관광공사







‘2010년 세계 디자인 수도(the World Design Capital 2010)’에 서울이 선정된 것이나,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나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서울 디자인 올림피아드’ 같은 행사들은 한국의 아방가르드를 지지하는 강한 분위기가 있음을 설명해주 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 사이에 현존하는 협력관계는 매혹적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는 서로 어울려 풍성하게 해주고 있다. 독일과 한국은 전후 도시재개발 시기의 출발점이 같을 뿐만 아니라 도시계획에 있어 현존하는 차이점 또한 있 기 때문이다. 상호협력이 결실을 맺은 좋은 사례는 쉐멜과 스탄코비치가 디자인한 용인에 있는 백남준 박물관이다. 아마도 이는 21세기 초 가장 흥미 있는 박물관 건물 중 하나일 것이다.
필자는 양국이 교류를 증대하고, 상호간 이해를 높임으로써 우리의 문화적 연대를 풍성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 한다. 물론 건축이나 도시계획 분야에서도 말이다.











약 력(이 력)



노르베르트 바스 박사















































































































1947.4.29 독일 함부르크 생
1968-1970 함부르크 소재 기계 공장에서 인턴십 다수/ 베를린 기술대학에서 경제 및 기계학 수학, 독일 함 부르크/ 베를린
1970-1975 베를린 기술대학에서 경제학 수학, 독일 베를린
1975-1976 존스-홉킨스 대학, 이탈리아 볼로냐
1976-1978 EUI(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연구원 및 역사학 박사과정, 이탈리아 플로렌스
1978 독일 연방 외무성 입사, 독일 본
1980-1982 외무성 ‘유럽지역 안전 및 상호협력 협의(CSCE) 부처 근무
1982-1985 OECD 파견, 프랑스 파리
1985-1986 이라크 독일 대사관, 이라크 바그다드
1987-1991 외무성 뭴레만 공사 및 쉐퍼 공사 수행비서관
1989 RCDS(Royal College of Defence Studies), 영국 런던
1991-1995 러시아 독일 대사관(정치부), 러시아 모스크바
1995-1998 주 조지아 독일 대사
1998-2001 외무성 중앙 유럽 부서장
2001-2003 외무성 안보 정책 대사, 독일-폴란드 지역 협력 협의회 공동 의장
2003-2006 외무성 대사, 유럽,중앙 아시아, 카프카스 지역 특별 전권 공사
07.2006-09.2009 주한 독일 대사




Impressions on Architecture and Urban Culture in Korea



Historical Parallel



It is always a stunning experience to witness the dynam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cross Asia. Korea is no exception. Skyscrapers of Seoul's dimension with the top sometimes stretching to the clouds as if in search of the mystical proximity to heaven, would be difficult to imagine in Germany. Are we literally more down-to-earth? Let us first look back to the post-war era, when Korean and German architecture was closely related. Both countries were confronted with extensive destruction of their cities. Thus, the entire infrastructure had to be rebuilt. It was necessary to wipe the slate clean.



German development



After the Second World War, German architecture was influenced firstly by a certain need to co-exist with the widespread eclecticism of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remnants of much older city centres. Behind it was the desire to keep as much of the architectural styles of the past as possible and to merge it with a new era. And secondly, the Bauhaus style influenced the post war architecture. Bauhaus' main objective was the unification of art, craft and technology in an interdisciplinary manner. In this regard, modern flat roofs were used and generous amenities like gas, electric light, and bathrooms were installed into buildings.
The Nazis alienated and dehumanised both these architectural traditions. The monstrous dimensions of Speer's projected Volkshalle for Berlin are a striking example of gigantic scales unthinkable before. Most Nazi architecture was original neither in style nor concept. Different traditions were copied and further enlarged, multiplied and exaggerated causing the distinct lack of any detailing at a human scale.
With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 mi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German architecture sought to be humble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post war era can be characterised by a swift return to human dimensions. Eclecticism with its too many decorative elements was avoided and the Bauhaus traditions were modified in order to become more reticent. A great number of the buildings in the style of the 1950s are being re-discovered today and they are loved for their subtleness in modern simplicity.
Apart from historical reasons, which rejected the Nazis' gigantic outlook, a lack of resources in post-war Germany favoured an architecture that was about to be functional and adequate for daily human needs. Accordingly, the primary objective of post-war architecture was an economically effective functionalism. Already existing techniques, which were integrated in the buildings of the Bauhaus era during the Weimar Republic, like central heating systems and water supply lines could be retained and were advanced. Hence, Bauhaus was newly defined and enhanced.
In addition, efforts were put into the preservation of the remaining historical parts of our old cities and into the renovation of existing big and comfortable apartment buildings. As a consequence, a great variety of eclectic decorative elements survived in the German cityscape. Germans, after all, remain greatly attached to their old romantic city centres with their typical central squares, churches and city halls around.



Decided Modernism in Korea



Korean architecture differed in some ways because of dissimilarities in the basic structure of the fabric of buildings.
Traditional Hanoks, the precious heritage of Korea, could hardly be restored without high cost for living purpose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integrate new technologies, such as 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systems that fulfil the needs of a modern and fast growing society. The revival of hanoks today is all the more remarkable and deserves support.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historic monuments, temples and palaces, existing houses could only be maintained on a limited scale. Entirely new buildings sprout. Consequently, Korean architecture developed more autonomously from the already existing traditional way of construction and new and modern elements were used quickly. Korean architecture in the post-war era, it seems to me, was eager to catch up and to realize the spirit of modernism.
After the Korean War, mainly the grand enterprises dominated the city reconstruction in Korea. Smaller construction projects or the typical red-brick individual houses generally did not have the chance to influence Korean architecture remarkably. First and foremost, the big companies, among them the chaebols, undertook huge building projects serving the need of the people to achieve a decent living standard.
Furthermore, there are almost no retro influences and no nostalgic elements in Korean post war architecture, as they can be found in German eclectic traditions in today's post-modernism. Korean architecture even appeared to be reluctant to post-modernism and decorative elements. Instead it is embossed by a design of distinct lines and tends to a traditional liking of minimalism rather than decoration.



New Modernism



The German post-modernist architecture was imprinted by its “fit-in” character. Historic facades remained and were renovated. They were then enriched by corresponding buildings and new elements, which generated a sense of aesthetic cosiness.
Nowadays, German architecture rather seems to distance itself more from that development and an architectural trend with fresh ideas is emerging. I think that this new development can be explained by three observations:
First, German contemporary architecture remains reluctant to huge building projects. This reflects a continuing aversion to the dehumanisation during the Nazi regime. Gigantic houses quickly arise suspicions that there is too much planning and the individual gets dwarfed by an authoritarian invisible hand. Urban planning, however, providing rules for measure and harmony in the size of buildings, the shaping of squares and street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hough many find a too bureaucratic and setting undue limits for architects.
Second,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care for harmony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In distinction to the construction of high- rise buildings, integrated housing with a main focus to energy efficiency is considered as preferable. Today, city planning pays growing attention to green the cities and to protect the environment by ecologically sustainable concepts.
Third, German architecture is marked by an ongoing strong individualism. Strong competition exists between architects and also between construction companies eager to realize new, innovative trends and therefore favouring new techniques and designs to develop their own styles. Trends may change quickly, fashions come and go. The community of architects seems to more creative than ever.
I find it difficult to say that there is a specifically German modernism. I can only find the difference in that the majority of Germans generally do not like to live in high skyscrapers and prefer lower buildings embedded in a welcoming city-landscape. We should accept that globalisation gave rise to an interaction of styles and ideas reflecting the cultural diversities and at the same time merging them all over the world. One of the striking examples of the open access to foreign trends and visions is the rebuilding of the Reichstag-Building in Berlin, centre of national legislation, home of the Bundestag, by Sir Norman Foster, a renowned British architect. European cooperation and the exchange of ideas are including architecture and design. Aesthetic and structural standards are nowadays being formed by similar housing preferences and tastes, which have always existed in Europe. It dates back to the early Greek civilisation. The time of distinct national conceptions has long been overcome. A new internationalism arises which blurs the distinctions of the past. Let us not forget: a Japanese architect designed the pyramide in front of the Louvre, an Iraqi architect will build a park in Seoul and German architects are providing new housing concepts to China.



Final Remarks



During my stay as an ambassador in Seoul, I followed the Korean process to embellish their cityscapes with great interest and sympathy. Starting with big convention centres and skyscrapers, nowadays urban culture in Korea seems to change towards a creative Metropolis. Korean cities are characterized by modern designs and I am convinced that more exciting architecture is still to come. Looking back at the post war development toward an unloaded and contentiously modern architecture, I think that Korea is in the comfortable situation to be prepared and even desires to make another important step towards modern innovative architecture.
Seoul as the World Design Capital 2010 and events such as the Gwangju Design Biennale, the Seoul Design Festival, the Seoul Design Olympiad account for a strong feeling in favour of Avantgarde in Korea. The existing cooperation between Europe and Asia is more than fascinating and enriches both sides reciprocally not only because of the common starting point regarding the post war rebuilding period of our cities, but also because of our differences still existing in urban planning. A good example for the fruitful cooperation is the design of Ms. Schemel and Ms. Stankovic for the Nam June Paik Museum in Yong-In, which looks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new museum buildings in the early 21st century.
I am confident that we have the capability to promote exchange, build mutual understanding and can enrich our cultural ties also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city planning.





Norbert Baas



Former German Ambassador













Dr. Norbert Baas















































































































1946.Apr.29 born in Hamburg,
1968-1970 various internships in machine factories, studying engineering and economics
in Hamburgand at the Technical Universityin Berlin
1970-1975 studying economics at the Technical University in Berlin
1975-1976 Johns-Hopkins-University Bologna
1976-1978 research and PhD (history) at the 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Florence
1978 entry into the Federal German Foreign Service, Bonn
1980-1982 Foreign Office, Department “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CSCE)”
1982-1985 OECD-Mission, Paris
1985-1986 German Embassy, Baghdad
1987-1991 Foreign Office, private Secretary to State Minister Möllemann and State Minister Schäfer
1989 Royal College of Defence Studies, London
1991-1995 German Embassy Moscow (political department)
1995-1998 Ambassador to Georgia
1998-2001 Foreign Office, Head of Department for Central Europe
2001-2003 Foreign Office, Ambassador-at-large for security policy and Co-Chairman of the German-Polish Intergovernmental Commission on Regional Cooperation
2003-2006 Foreign Office, Ambassador, Special Envoy and Director for Eastern Europe,Central Asiaand Caucasus
07.2006-09.2009 Ambassador to the Republic of Korea

이전글
지속가능한 도시 르네상스의 미래
다음글
해외도시개발은... 세계를 영토로 활용하는 글로벌 국토의 첫걸음